미술 이론 및 역사
#86. 공공미술과 커뮤니티 아트
예술이 거리에 닿는 방식미술이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순간예술은 본래 감상자와의 교감을 전제로 하지만, 오랫동안 그 교감은 미술관이나 갤러리처럼 제한된 공간에서만 이루어졌습니다.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로 예술은 점차 ‘공간’과 ‘사회’로의 확장을 시도하게 되었고, 그 대표적인 흐름이 바로 **공공미술(Public Art)**과 **커뮤니티 아트(Community Art)**입니다. 이 두 장르는 단순히 예술을 외부 공간에 설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,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중시하고, 참여와 소통을 통해 의미를 구축하는 **사회적 예술(social art)**의 성격을 띠게 됩니다. 공공미술은 도시의 거리, 광장, 건물 외벽, 공원 등 다양한 열린 장소에서 구현되며, 커뮤니티 아트는 특정 지역의..